
Firebase Storage 사용량 초과로 이미지 로딩 지연 문제가 발생했다. 클라이언트가 매번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비효율적인 흐름이 원인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워커와 Cache Storage를 활용해 이미지 캐싱을 적용했다. 그러나 Response 타입이 'opaque'로 설정되어 헤더를 읽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crossorigin 속성을 설정해 CORS 문제를 해결했다.//">Firebase Storage 사용량 초과로 이미지 로딩 지연 문제가 발생했다. 클라이언트가 매번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비효율적인 흐름이 원인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워커와 Cache Storage를 활용해 이미지 캐싱을 적용했다. 그러나 Response 타입이 'opaque'로 설정되어..
개발이야기
2025. 3. 8. 15:28